콜라겐 이야기
콜라겐은 세포와 세포의 틈을 메워주는 단백질이다.
피부가 탄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성분이다.
그러면 이를 많이 섭취하면 피부를 탱탱하게 유지할 수 있을까.
절대 그렇지 않다. 분자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그렇다.
입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온 콜라겐은 소화관 내에서 아미노산으로 잘게 쪼개져 흡수된다.
흡수된 아미노산은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흩어져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 재료가 된다.
하지만 이 아미노산이 반드시 체내 콜라겐의 원료가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대부분은 콜라겐이 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콜라겐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글리신, 프롤린, 알라닌과 같이 흔하디 흔한
아미노산으로, 다른 단백질 식품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똑같은 아미노산인 만큼 그것이 콜라겐에서 온 것인지 다른 식품에서 온 것인지
피부의 입장에서는 구분할 필요가 없다. 결론적으로 피부 콜라겐은 피부가 만들고 싶을 때
피부세포가 혈액 중의 아무 아미노산이나 흡수해 필요량만큼 합성할 뿐이다.
이는 우리가 섭취하는 모든 음식물에도 적용되는 메커니즘이다.
모든 음식은 소화관에서 기초 구성 단위로 분해된 뒤 흡수된다. 왜 그럴까.
음식물에 내재된 다른 개체의 생체 정보를 해체하기 위해서다.
다른 개체의 정보가 통째로 우리 몸에 스며들면 우리 몸의 정보와 충돌해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아노피나 염증, 거부반응 등은 그런 생체 정보 간 충돌의 한 양상이다.
이렇게 보면 소화란 다른 개체의 생체 정보가 우리 몸의 정보와 충돌하지
않도록 정보(음식물)를 최저 단위로 해체하는 것이다. ('동적 평형' 후쿠오카 신이치)
결국 우리 몸 어디가 좋지 않다고 관련 성분을 다량 섭취하는 것은 그 자체로는 전혀 무의미한 행위하는 것이다.
최근 효능 논란을 빚고 있는 글루코사민도 마찬가지다.
관절과 연골의 구성 성분이지만 이것을 먹는다고 해서 그대로 직접 몸의 일부가 되지는 않는다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는 당연한 얘기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글루코사민의 효능을 인정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그 근거가 영 미덥지 않다.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효능이 증명됐다는것이 아니라
글루코사민이 효능이 있다는 논문도 많다는 것이 전부다.
고작 이런 근거로 글루코사민을 계속 먹어도 된다고 하니 국민은 답답할 노릇이다.
- 정경훈 논설위원.
어제날짜 대구 매일신문 야고부(野鼓賦) 기사다.
콜라겐이 많아 미용에 좋다며 돼지껍데기를 즐기는지인이 있다.
나보다 젊기도하고 피부 미인인 그녀가
"언니 나이쯤 되면 먹어 주어야 한다."며 지난주 돼지껍데기 안주를 시켜놓고 나를 시험에 들게 했다. ㅎㅎ 불판 위에서 구워 양념장에 찍어 먹는 것이었는데, 남편도 이제는 좀 먹을 줄 알아야 한다며 권하고,
늘어만 가는 잔주름과 피부노화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억지로라도 먹어야 하나'하는
고민까지 나름 심각했었다.
한 점 입에 넣어주는 걸 대충 씹다가 꿀꺽 삼키긴 했지만 두 번 젓가락이 가지는 않았다. ㅎㅎ
채식 위주로만 편식이 심해서 지인들과의 모임에 적잖이 불편을 줄수도 있다는걸 알기에
내색 않는 편이지만 무엇이든 먹일려는 통에 곤혹을 치를 때가 많다.
비위는 노력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란 걸 알아 갈뿐 식성이 나아지지 않았다.
특히 육회나 소내장 돼지 내장류의 부산물 들과 관련한 요리들은 정말 적응이 안되는데
이 기사를 읽으면서 건강식품 내지는 유독 좋은 음식이라는 것이 우리 몸 속으로 들어 오더라도
모두 공평하게 분해시키는 몸속 소화관이 정말 신비로운 영역이라는 생각이 든다.
신비한 몸 덕분에 즐거운 마음으로 구미 당기는 음식만 먹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어쨌거나 내겐 돼지껍데기를 두고 다시 고민을 다시 하지 않아도 되었으니 정말 반가운 일이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