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수필

방망이 깍던 노인 - 윤오영

구름뜰 2010. 10. 19. 08:02

 

벌써 40여 년 전이다. 내가 갓 세간난 지 얼마 안돼서 의정부에 내려가 살 때다.

서울 왔다가는 길. 청량리역으로 가기 위해 동대문서 일단 전차를 내려야 했다.

동대문 맞은편 길가에 앉아서 방망이를 깍아서 파는 노인이 있었다.

방망이를 한 벌 사가지고 가려고 깍아달라고 부탁을 했다.

값을 굉장히 비싸게 부르는 것 같았다. 좀 싸게 해줄수 없냐고 했더니, 

 " 방망이 하나 가지고 에누리하겠소?  비싸거든 다른데 가 사우."

대단히 무뚝뚝한 노인이었었다. 더 깍지도 못하고 잘 깍어나 달라고만 부탁을 했다.

그는 잠자코 열심히 깍고 있었다.  처음에는 빨리 깍는 것 같더니, 

저물도록 이리 돌려보고 저리 돌려보고 굼뜨기 시작하더니, 이내 마냥 늦장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만하면 다 됐는데 자꾸만 더 깍고 있다.

이제 다 됐으니 그냥 달라고 해도 못 들은 척이다.

차 시간이 바쁘니 빨리 달라고 해도 통 못들은척 대꾸가 없다.

사실 차 시간이 빠듯해왔다. 갑갑하고 지루하고 이제는 초조할 지경이다. 

 " 더 깍지 아니해도 좋으니 그만 달라" 고 했더니 , 화를 버럭내며 

 " 끓을 만큼 끓어야 밥이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이되나 " 나도 기가 막혀서

 " 살 사람이 좋다고 하는데 무얼 더 깍는단 말이요 노인장 외고집이시구먼 차 시간이 없다니까." 

노인은 퉁명스럽게  " 다른데 가 사우, 난 안 팔겠소" 하고 내뱉는다.

지금까지 기다리다 그냥 갈 수도 없고,   차 시간은 어차피 틀린것 같고 해서,

될대로 되라고 체념할 수밖에 없었다. " 그럼 마음대로 깍아보시오." 

" 글쎄 재촉을 하면 점점 거칠고 늦어진다니까, 물건이란 제대로 만들어야지 깍다가 놓으면 돠나? " 

좀 누구러진 말투다.

이번에는 깍던것을 숫제 무릅에다 놓고 태연스럽게 곰방대에 담배를 담아 피우고 있지 않은가? 

나도 그만 지쳐버려 구경꾼이 되고 말았다.

얼마후에, 노인은 또 깍기 시작한다.  저러다가 방망이 다 깍여 없어질 것만 같았다.

또 얼마 후에 방망이를 들고 이리저리 돌려 보더니 다 됐다고 내준다.

사실 다 되긴 아까부터 다 돼 있던 방망이다.

차를 놓치고 다음 차로 가야하는 나는 불쾌하기 짝이 없었다.

그 따위로 장사를 해 가지고 장사가 될 턱이 없다. 손님 본위가 아니고 자기 본위다. 

불친절하고 무뚝뚝한 노인이다. 생각 할수록 화가 났다.

그러다가 뒤를 돌아다보니, 노인은 태연히 허리를 펴고 동대문 추녀를 바라보고 있다,

그때,  어딘지 모르게 노인다워 보이는, 그 바라보는 있는 옆모습, 그리고 부드러운 눈매와 흰 수염에

내 마음은 약간 누구러졌다. 노인에 대한 멸시와 증오심도 조금은 덜해진 셈이다. 

 

 

집에 와서 방망이를 내놨더니, 아내는 예쁘게 깍았다고 야단이다.

집에 있는 것보다 참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전에 것이나 별로 다른 것 같지 않았다. 

그런데 아내의 설명을 들어 보면, 배가 너무 부르면 다듬이질할 때 옷감이 잘 치이고,

같은 무게라도 힘이 들며, 배가 너무 안 부르면 다듬이살이 펴지지 않고 손에 헤먹기 가 쉽다는 것이고,

요렇게 꼭 알맞은 것은 좀처럼 만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나는 비로소 마음이 확 풀렸다. 

그리고 그 노인에 대한 내 태도를 뉘우쳤다.  참으로 미안했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죽기는 대쪽이 떨어지면 쪽을 대고 물수건으로 겉을 씻고 뜨거운 인두로 곧 다리면

다시 붙어서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요사이 죽기는, 대쪽이 한번 떨어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가 없다. 

예전에는 죽기에 대를 붙일 때, 질 좋은 부레를 잘 녹여서 흔뻑 칠한 뒤에 비로소 붙인다.

이것을 "소라 붙인다" 고 한다.

약재만 해도 그렇다. 옛날에는 숙지황을 사면 보통의 것은 얼마,  그보다 나은 것은 얼마의 값으로 구별했고,

구증 구포 한것은 3배 이상 바쌌다. 구증 구포란, 찌고 말리기를 아홉번 한 것이다. 

눈으로 보아서는 다섯번 쪘는지 열번 쪘는지 알 수가 없다.  말을 믿고 사는 것이다, 신용이다.

지금은 그런 말조차 없다. 남이 보지 않는데 아홉 번씩이나 찔리도 없고 또 그 말만 믿고,

3배나 값을 더 줄 사람도 없다.

옛날 사람들은 흥정은 흥정이요 생계는 생계지만, 

물건을 만드는 그 순간만은 오직 훌륭한 물건을 만든다는 그것에만 열중했다. 

그리고 스스로 보람을 느꼈다.  그렇게 순수하게 심혈을 기울여 공예 미술품을 만들어 냈다. 

이 방망이도 그런 심정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나는 그 노인에 대해서 죄를 지은 것 같은 괴로움을 느꼈다.  

 " 그 따위로 해서 무슨 장사를 해 먹는담,"  하던 말은 " 그런 노인이 나 같은 청년에게 멸시와 증오를 받는 세상에서 어떻게 아름다운 물건이 탄생할 수 있담 " 하는 말로 바뀌어졌다.

나는 그  노인을 찾아가 추탕에 탁주라도 대접하며 진심으로 사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다음 일요일에 상경하는 길로 그 노인을 찾았다. 

그러나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노인은 와 있지 아니 했다.

나는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멍하니 서 있었다.  허전하고 서운했다. 

내 마음을 사과드릴 길이 없어 안타까웠다.

맞은쪽 동대문의 추녀를 바라다보았다. 푸른 창공으로 날아갈 듯한 추녀 끝으로 흰구름이 피여나고 있었다.

아,  그때, 그 노인이 저 구름을 보고 있었구나.

열심히 방망이를 깍다가 유연히 추녀 끝에 구름을 바라보던 노인의 거룩한 모습이 떠올랐다.

 

 

  

오늘, 안에 들어갔더니 며느리가 북어를 뜯고 있었다.

전에, 더덕북어를 방망이로 쿵쿵 두둘겨서 먹던 생각이 난다.  방망이를 구경한 지도 참 오래다. 

요사이는 다듬이질 소리도 들을 수가 없다.  애수를 자아내던 그 소리도 사라진 지 이미 오래다. 

문득 사십여 년 전,  방망이 깍던 노인이 생각난다.

 

윤오영 (1907~ 1976)

한국적 정서를 가장 잘 표현했던 작가였고

한학자로서 동양고전에도 해박한 지식을 가진 분이셨다.

수필창작도 하셨지만 이론 연구에도 크게 기여했다.

21살에 등단하셨지만 50살이 넘어서 작품 활동을 하신 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