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단(花壇)
찰찰하신 노주인이 조석을 물을 준다. 거름을 준다.
손아(孫兒)들을 데리고 일삼아 공을 들이건마는 이러한 간호만으로는
병들어가는 화단을 어찌하지 못하였다.
그 벌벌하고 탐스럽던 수국과 옥잠화의 넓은 잎사귀가 모두 누릇누릇하게 뜨기 시작하고
불에 데인 것처럼 부풀면서 말라들었다.
"빗물이나 수돗물이나 물은 마찬가질 텐데......"
물을 주고 날 때마다, 화단에서 어정거릴 때마다 노인은 자못 섭섭해 하였다.
비가 왔다.
소나기라도 한줄기 쏟아졌으면하던 비가 사흘이나 순조로이 내리어
화분마다 맑은 물이 가득가득 고이었다
노인은 비가 개인 화단 앞을 거닐며 몇 번이나 혼자 수군거리었다.
"그저 하늘 물이라야...... 억조창생(億兆蒼生)이 다 비를 맞아야......"
만지기만 하면 가을 가랑잎 소리가 날 것 같던 풀잎사귀들이 기적과 같이 소생하였다.
노랗게 뜸이 들었던 수국잎들이 시꺼멓게 약이 오르고 나오기도 전에 옴츠러지던 꽃봉오리들이
부르튼 듯 탐스럽게 열리었다. 노인은 기특하게 여기어 잎사귀마다 들여다보며 어루만지었다.
원래 서화를 좋아하는 어른으로 화초를 끔찍이 사랑하는 노인이라,
가만히 보면 그의 손이 가지 않은 나무가 없고 그의 공이 들지 않은 가지가 없다.
그 중에도 석류나무 같은 것은 철사를 사다 층층이 테를 두르고 곁가지 샛가지를 자르기도 하고
휘어붙이기도 하여 사층 나무도 되고 오층으로 된 나무도 있다.
장미는 홍예문같이 틀어올린 것도 있고 복숭아나무는 무슨 비방으로 기른 것인지
키가 한 자도 못 되는 어린 나무에 열매가 도닥도닥 맺히였다.
노인은 가끔 안손님들까지 사랑마당으로 청하여 이것들을 구경시키었다.
구경하는 사람마다 희한해하였다.
그러나 다행히 이러한 화단이 우리 방 앞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한번도 노주인의 재공(才功)을 치하하지 못한 것은 매우 서운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가 있는 재주를 다 내어 기르는 그 사층 나무 오층 나무의 석류보다도
나의 눈엔 오히려 한편 구석 응달 밑에서 주인의 일고지혜(一顧之惠)도 없이
되는 대로 성큼성큼 자라나는 봉선화 몇 떨기가 더 몇 배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이다.
무럭무럭 넘치는 기운에 마음대로 뻗고 나가려는 가지가
그만 가위에 잘리우고 철사에 묶이어
채반처럼 뒤틀려 있는 것은 아무리 보아도 괴로운 꼴이다.
불구요 기형이요 재변이라 안할 수 없다.
노인은 푸른 채반에 붉은 꽃송이를 늘어놓은 것 같다고 하나
우리의 무딘 눈으로는 도저히 그런 날카로운 감상을 즐길 수 없을 뿐 아니라
도리어 불유쾌를 느낄 뿐이었다.
자연은 신이다. 이름 없는 한 포기 작은 잡초에 이르기까지 신의 창조가 아닌 것이 없다.
신의 작품으로서 우리 인간이 손을 대지 않으면 안 될 만한 그러한 졸작,
그러한 미완품이 있을까?
이것은 생각만으로도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우리는 자연을 파괴하고 불구되게 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을 창조하거나 개작할 재주는 없을 것이다.
--이태준
댓글을 보다가 생각난 수필이라서 올려 봅니다.
노주인의 사랑채에 세들어 사는 작가의 심상이 잘 드러난 글입니다..
이글은 해방전에 쓴 글이니 엄청 오래된 작품입니다..
이런 글은 읽은 적이 있는 이라면 나무나 분재를 볼때 다른 느낌이 들 것입니다..
찬탄하기만 하던 모습에서 그 내면의 본질인 나무입장도 한번 생각하게 되지요.
우리가 우리들의 편리를 위해서 자연에
얼마나 한심한 짓을 하고 있나 싶은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나쁘다 좋다를 떠나서 한번 돌아보도록 하는것,
그 이면의 것을 염려하고 배려할줄 아는 것,,
그것이 문학과 예술이 추구하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멀리 할 수 없는것이기도 하구요......
오늘아침 단상도 '화단'이라는 글로 인해 더욱 풍요로워지는 것 같습니다.ㅎㅎㅎ
작가이야기..
이태준 선생님의 호는 상허이고 1904년 강원도 철원 출생입니다.
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작품활동 시작, '까마귀' '달밤' 복덕방' 등의 단편소설이 있고,
인물과 성격의 차분한 내관적 묘사로 토착적인 생활을 부각시켜 완결된 구성법으로
한국 현대소설의 기법적인 바탕을 이룩하였다고 평가받은 작가입니다..
'문장'지 주관하다가 8,15광복 직전 철원에서 칩거
광복후 '조선문학가동맹에' 포섭 활약하다가 월북,
1956년 노동당 평양시위원회산하 문학예술출판부 열성자회의에서
과거 구인회 활동과 반동성과 사상성의 불일치를 이유로 비판을 받고 숙청되었다고 합니다..
월북 문인이어서 1980년대 이전에는 교과서에 내용이 거론된적이 없는 작가라고 합니다.
그래서 많이 알려진 분은 아니지만 글들이 정말 좋습니다. 아까운 분이시지요.
작품으로는 '구원의 여상' '딸 삼형제' '사상' '해방전후'등이 있으며 문장론인 '문장강화'도 있습니다.
수필집으로 '무서록'도 있답니다.수필작품 몇 편 외엔 읽어본것이 없지만,
글속에서 선생님의 성품이 잘 드러나서 읽는맛이 좋은 작품들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