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머리에 구름을 두른 천산산맥이 바라다 보이는 도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의 수도 알마티다. 옛 소련 시절부터 현지 고려인의 한글 교육과 전통문화 보급에 힘써 온 원로시인 양원식씨가 자택 앞에서 괴한의 피습을 받아 비명에 숨졌다. 당시 74세. 2006년 5월의 일이다.
시인은 알마티에서 한글판을 발행하는 고려일보 주필을 지냈다. 1923년 연해주에서 ‘선봉’이란 이름으로 창간돼 레닌기치란 이름을 거쳐 오늘에 이른 고려일보는 그때까지 시인의 일터였다. 그가 생존해 활동하고 있던 2005년, 필자는 시인의 안내로 고려일보를 방문한 적이 있다. 후리후리한 키에 따뜻한 정감이 남달랐던 그는 그러나 역사의 물결에 휩쓸린 영원한 경계인이었다.

그가 쓴 시에 그의 조국은 세 개, 즉 조선과 카자흐스탄과 러시아라고 기록돼 있다. 북한 출신으로 한국전쟁 중임에도 모스크바 영화학교로 유학했을 만큼 촉망받는 인재였던 그는 당시 동료 학생들과 함께 평양으로 돌아가지 않고 망명자의 길을 걸었다. 그의 재능은 청년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고려인 시인의 표본으로 남았으나, 원인도 습격자도 밝혀지지 않은 채 비운의 생애를 마감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려인 문학·음악 등에 큰 영향=‘북한이 버린 천재 작곡가’ 또는 ‘카자흐스탄의 윤이상’이란 호칭을 가진 정추는 어떤가. 그는 월북해 평양음대 교수를 지냈으며 모스크바 유학 중 다시 소련으로 망명했다. 세계 3대 음악원 중 하나인 러시아 차이코프스키 음악대학 최초로 졸업 작품 만점을 받았고, 소련의 세계 최초 우주비행 성공 기념행사에서 자신의 곡을 연주하기도 했다. 2010년 필자가 알마티에서 만난 그는 여러 차례 살해 위험을 넘겼다고 술회했다. 남북한에서 모두 외면당한 이 불우한 작곡가는 올 6월 90세를 일기로 타계하기까지 카자흐스탄 음악계의 거장으로 살았다.
문학평론가이자 문필가였던 정상진(필명:정률)도 있다. 북한 정권 수립에 일조하고 문화선전성 제1부상을 지냈으나 결국에는 축출돼 말년을 알마티에서 보냈다. 그의 『아무르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는 ‘북한과 소련의 문학·예술인들 회상기’란 부제가 붙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출간돼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정추 선생이 별세한 이틀 뒤에 역시 90세의 천수를 누리고 그 뒤를 따라갔다.
알마티에는 이들 외에도 한진·리진·연성용·라브렌티 송 등 그 지역에서 소중하게 인정받는 문인이 많다. 소련 국적 고려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는 소설 『켄타우로스 마을』 『다람쥐』 등을 쓴 아나톨리 김이다. 『해바라기 꽃잎 바람에 날리다』의 작가 미하일 박도 문명이 높다. 이제 후대 5·6세대에까지 이른 이 고려인 사회는 그 인구가 50만 명을 넘었다.
이 모두 바람 거세고 구름 높이 흘러가는 땅, 중앙아시아 대륙에서의 일이다. 북한은 물론 이들을 한민족의 울타리로 끌어안아야 할 한국에서조차 그 동안 아무런 손길도 건네지 않았다.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비극 여러 편이 무슨 드라마처럼 펼쳐지는 역사 과정을, 강 건너 불 보듯 바라만 보면서 지나온 세월이었다. 그것은 남북한 이념과 체제의 갈등, 그리고 분단시대 곤고한 삶의 역정, 그 실상을 이국에서 증거한 형국이었다.
◆조선족 문학의 개화=19세기 후반부터 한민족은 구(舊)소련 지역으로 이주해 고려인 집단을, 중국으로 이주해 조선족 집단을 형성했다. 이들의 문단 구성 초창기, 구소련에 조명희(1894~1938)가 있었다면 중국에는 안수길(1911~77)이 있었다. 중국 내부의 소수민족 가운데 하나가 된 조선족은 20세기 이후부터 문학 활동을 전개해 문학동인 단체 북향회를 발족하고 ‘북향’이라는 문예지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향토문인으로 작가 김창걸과 시인 리욱 등을 배출했다.
이 무렵 중국으로 건너간 강경애가 거기서 작품을 썼고, 최서해는 거기서 얻은 체험을 국내로 돌아와 작품화했다. 중국 조선족 문학을 대표할만한 작가로 꼽히는 『격정시대』의 김학철은 항일투사였던 자전적 기록을 소설에 담았고, 그와 같은 작품의 내용은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전형이 됐다. 현재 수많은 한글 문학이 창작되고 있는 중국 동북3성의 조선족 거주민은 200만 명을 넘는다.
북한과의 연접성을 위주로 기술한 만큼, 동포 60만 명이 넘는 일본이나 200만 명이 넘는 미국의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상술하지 못해 안타깝다. 특히 일본의 조총련계를 중심으로 한 ‘문학예술가동맹’의 문학적 축적은 보다 자세한 논의가 필요하다. 어쨌거나 김달수·김석범·이회성·양석일·이양지·유미리·현월·가네시로 가즈키 등이 이룩한 재일 조선인 문학, 김용익·김은국·노라 옥자 켈러·차학경·이창래·수잔 최·캐시 송 등이 이룩한 재미 한인 문학의 빛나는 성과가 퇴색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문학의 영역 확장=이들이 한민족 문학사의 텃밭에 핀 귀한 꽃무리라면, 이들을 잘 가꾸고 그 명맥을 이어가도록 할 막중한 책임은 ‘한국문학’에 있다. 그 책임의식으로 남북한 문학, 납·월북 문인 문제를 디아스포라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덧붙여 언급해야 할 문제가 있다. 이 한민족 문화권의 논리와 의미망 가운데로, 해방 이래 한국문학과 궤(軌)를 달리할 수밖에 없었던 북한문학을 초치하는 일이다. 북한문학에 대결 구도의 인식으로 접근해서는 접점이나 소통의 전망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안이 있을까. 여기에 한민족 문화권의 운동범주를 원용할 수 있겠다. 이는 남북한 문학을 포함해 재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재중국 조선족 문학, 재일 조선인 문학, 재미 한인 문학 등 재외 한글 문학의 전체적인 구도 속에서 남북한 문학의 지위를 자리매김 해 나가자는 논리이다. 그리하여 남북한 문학이 보다 자유롭게 만나고 그 효력의 대외적 확산을 도모하며 통일 이후에 개화(開化)할 새로운 민족문학의 장래를 예비하자는 것이다.
이는 한반도를 둘러싼 비핵화 논쟁의 당사국들이 벌이는 6자회담을, 문학의 이름으로 옮겨놓은 구도이다. ‘사람’이 있는 곳에 ‘힘’의 충돌이 있다는 뜻이다. 필자는 6자회담이란 정치적 이슈가 등장하기 전부터 남북한과 네 지역의 디아스포라 문학을 합하여 ‘2+4시스템’으로 불러왔다. 이 길은 남북한 문학, 더 넓게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교류와 연대를 내다보는 새 통로이며, 정치나 국토 통합에 우선하는 문화통합의 추동력이 될 수 있다.
김종회(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김종회=1955년 경남 고성 출생. 88년 ‘문학사상’으로 평론가 데뷔. 평론집 『위기의 시대와 문학』 『문학과 예술혼』 『디아스포라를 넘어서』 등. 김환태평론문학상·한국문학평론가협회상 등 수상
러시아로 건너간 한국 문학의 자취가 스크린으로 옮겨진다. 러시아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작가이자 한국계 러시아 작가인 아나톨리 김(74)의 소설 ‘복수’가 한국과 러시아 합작 영화로 제작된다. 영화는 내년 러시아 사할린과 한국에서 촬영한 뒤 2015년 각종 영화제에 출품될 계획이다.

‘복수’는 1930년대 러시아 사할린으로 이주하게 된 조선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한국에서는 SCS엔터테인먼트 이주익 대표가 제작에 나서고 아나톨리 김이 원작자로 참여한다. 지난달 하순 제35회 모스크바영화제 부속행사로 열린 ‘한-러 영화산업 협력모델 구축 포럼’에서 그 윤곽이 제시됐다.
연출은 러시아의 파벨 추흐라이가 맡았다. 파벨 추흐라이는 러시아의 대표 감독인 그리고리 추흐라이의 아들로, 1997년 ‘도둑(The Thief)’으로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원작을 쓴 아나톨리 김은 1939년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고리키문학대를 졸업했다. 73년 단편 ‘수채화’로 등단한 뒤 서정소설부터 환상소설까지 100편이 넘는 작품을 발표해왔다.
특히 그의 대표작 ‘다람쥐’(1982)는 다람쥐·돼지 등 동물로 변신한 4명의 예술가를 통해 인간 내면의 속성과 구소련 예술계의 단면을 드러내며 현지 문단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당시 마르코프 소련작가동맹 의장이 이 작품을 비판하는 연설을 하던 중 쓰러져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서구에 그의 이름은 더 유명해졌다. 그는 이 작품으로 2005년 톨스토이 문학상을 받았다. 그는 또 97년 톨스토이 재단이 창간한 러시아 최대 문학지 ‘야스나야 폴랴나’의 초대 편집장을 맡기도 했다.
강릉 김씨로 김시습의 후손이라고 강조하는 그는 91년부터 5년여간 중앙대에서 러시아 문학 강의를 하면서 족보를 확인해 소설가 이상(본명 김해경)의 후예라고 밝히기도 했다. 국내에는『켄타우로스의 마을』『해초 따는 사람들』『신의 플루트』 등의 작품이 번역됐고 김현택 한국외대 교수와 함께『춘향전』을 러시아어로 번역해 소개하는 등 한국 문학을 러시아에 알리는 데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현옥 기자
일본 '아쿠타가와상' 4명 수상
이창래(左), 유미리(右)문학은 땅의 산물이다. 해외 각지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작가의 문학인 ‘디아스포라 문학’은 우리 문학의 또 다른 가능성이다.

이른바 경계인 신분. 이곳에도 저곳에도 든든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이들의 자기 정체성 탐구는 괄목할 문학적 성과로 피어나고 있다. 이들은 식민지 시대나 분단, 한국전쟁 등을 독특한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일본이다. 일본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아쿠타가와(茶川)’상 수상자 중 한국계 작가는 네 명이나 된다. 첫 수상자인 이회성(‘다듬이질하는 여인’)을 비롯, 이양지(‘유희’)와 유미리(‘가족 시네마’), 현월(‘그늘의 집’) 등이 재일 한국인 문학의 맥을 이어왔다.
강용흘과 김은국, 수잔 최와 이창래 등으로 이어지는 미국내 한국계 작가도 주류 문단에서 인정받고 있다. 김은국(1932~2009)은 한국전쟁 당시 평양을 배경으로 신앙과 양심의 갈등을 그린 『순교자』(1964)로 한국계 최초로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이창래(48)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첫 장편 『영원한 이방인(원제 Native Speaker)』로 헤밍웨이상 등 미국 내 권위 있는 문학상을 휩쓸었으며, 노벨문학상 후보로도 거론돼왔다. 한국전쟁으로 뒤얽힌 세 남녀의 비극적 삶을 다룬 신작 『생존자』가 올해 국내 번역·출간되기도 했다.
하현옥 기자
◆디아스포라(Diaspora)=그리스어에서 온 말로, 분산 또는 이산을 뜻한다. 팔레스타인 외역(外域)에 살면서 동일한 종교규범을 가졌던 유대인 및 그들의 거주지를 주로 가리킨다. 일제강점기·남북분단을 거치면서 생긴 중국 및 중앙아시아로의 집단이주, 징병·징용과 관련된 일본으로의 이주, 노동자 수출로 시작된 미주로의 이주 등도 디아스포라의 한 유형이다.
시인은 알마티에서 한글판을 발행하는 고려일보 주필을 지냈다. 1923년 연해주에서 ‘선봉’이란 이름으로 창간돼 레닌기치란 이름을 거쳐 오늘에 이른 고려일보는 그때까지 시인의 일터였다. 그가 생존해 활동하고 있던 2005년, 필자는 시인의 안내로 고려일보를 방문한 적이 있다. 후리후리한 키에 따뜻한 정감이 남달랐던 그는 그러나 역사의 물결에 휩쓸린 영원한 경계인이었다.
그가 쓴 시에 그의 조국은 세 개, 즉 조선과 카자흐스탄과 러시아라고 기록돼 있다. 북한 출신으로 한국전쟁 중임에도 모스크바 영화학교로 유학했을 만큼 촉망받는 인재였던 그는 당시 동료 학생들과 함께 평양으로 돌아가지 않고 망명자의 길을 걸었다. 그의 재능은 청년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고려인 시인의 표본으로 남았으나, 원인도 습격자도 밝혀지지 않은 채 비운의 생애를 마감했다.

◆고려인 문학·음악 등에 큰 영향=‘북한이 버린 천재 작곡가’ 또는 ‘카자흐스탄의 윤이상’이란 호칭을 가진 정추는 어떤가. 그는 월북해 평양음대 교수를 지냈으며 모스크바 유학 중 다시 소련으로 망명했다. 세계 3대 음악원 중 하나인 러시아 차이코프스키 음악대학 최초로 졸업 작품 만점을 받았고, 소련의 세계 최초 우주비행 성공 기념행사에서 자신의 곡을 연주하기도 했다. 2010년 필자가 알마티에서 만난 그는 여러 차례 살해 위험을 넘겼다고 술회했다. 남북한에서 모두 외면당한 이 불우한 작곡가는 올 6월 90세를 일기로 타계하기까지 카자흐스탄 음악계의 거장으로 살았다.
알마티에는 이들 외에도 한진·리진·연성용·라브렌티 송 등 그 지역에서 소중하게 인정받는 문인이 많다. 소련 국적 고려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작가는 소설 『켄타우로스 마을』 『다람쥐』 등을 쓴 아나톨리 김이다. 『해바라기 꽃잎 바람에 날리다』의 작가 미하일 박도 문명이 높다. 이제 후대 5·6세대에까지 이른 이 고려인 사회는 그 인구가 50만 명을 넘었다.
이 모두 바람 거세고 구름 높이 흘러가는 땅, 중앙아시아 대륙에서의 일이다. 북한은 물론 이들을 한민족의 울타리로 끌어안아야 할 한국에서조차 그 동안 아무런 손길도 건네지 않았다.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비극 여러 편이 무슨 드라마처럼 펼쳐지는 역사 과정을, 강 건너 불 보듯 바라만 보면서 지나온 세월이었다. 그것은 남북한 이념과 체제의 갈등, 그리고 분단시대 곤고한 삶의 역정, 그 실상을 이국에서 증거한 형국이었다.
◆조선족 문학의 개화=19세기 후반부터 한민족은 구(舊)소련 지역으로 이주해 고려인 집단을, 중국으로 이주해 조선족 집단을 형성했다. 이들의 문단 구성 초창기, 구소련에 조명희(1894~1938)가 있었다면 중국에는 안수길(1911~77)이 있었다. 중국 내부의 소수민족 가운데 하나가 된 조선족은 20세기 이후부터 문학 활동을 전개해 문학동인 단체 북향회를 발족하고 ‘북향’이라는 문예지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향토문인으로 작가 김창걸과 시인 리욱 등을 배출했다.
이 무렵 중국으로 건너간 강경애가 거기서 작품을 썼고, 최서해는 거기서 얻은 체험을 국내로 돌아와 작품화했다. 중국 조선족 문학을 대표할만한 작가로 꼽히는 『격정시대』의 김학철은 항일투사였던 자전적 기록을 소설에 담았고, 그와 같은 작품의 내용은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전형이 됐다. 현재 수많은 한글 문학이 창작되고 있는 중국 동북3성의 조선족 거주민은 200만 명을 넘는다.
북한과의 연접성을 위주로 기술한 만큼, 동포 60만 명이 넘는 일본이나 200만 명이 넘는 미국의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상술하지 못해 안타깝다. 특히 일본의 조총련계를 중심으로 한 ‘문학예술가동맹’의 문학적 축적은 보다 자세한 논의가 필요하다. 어쨌거나 김달수·김석범·이회성·양석일·이양지·유미리·현월·가네시로 가즈키 등이 이룩한 재일 조선인 문학, 김용익·김은국·노라 옥자 켈러·차학경·이창래·수잔 최·캐시 송 등이 이룩한 재미 한인 문학의 빛나는 성과가 퇴색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문학의 영역 확장=이들이 한민족 문학사의 텃밭에 핀 귀한 꽃무리라면, 이들을 잘 가꾸고 그 명맥을 이어가도록 할 막중한 책임은 ‘한국문학’에 있다. 그 책임의식으로 남북한 문학, 납·월북 문인 문제를 디아스포라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덧붙여 언급해야 할 문제가 있다. 이 한민족 문화권의 논리와 의미망 가운데로, 해방 이래 한국문학과 궤(軌)를 달리할 수밖에 없었던 북한문학을 초치하는 일이다. 북한문학에 대결 구도의 인식으로 접근해서는 접점이나 소통의 전망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안이 있을까. 여기에 한민족 문화권의 운동범주를 원용할 수 있겠다. 이는 남북한 문학을 포함해 재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재중국 조선족 문학, 재일 조선인 문학, 재미 한인 문학 등 재외 한글 문학의 전체적인 구도 속에서 남북한 문학의 지위를 자리매김 해 나가자는 논리이다. 그리하여 남북한 문학이 보다 자유롭게 만나고 그 효력의 대외적 확산을 도모하며 통일 이후에 개화(開化)할 새로운 민족문학의 장래를 예비하자는 것이다.
이는 한반도를 둘러싼 비핵화 논쟁의 당사국들이 벌이는 6자회담을, 문학의 이름으로 옮겨놓은 구도이다. ‘사람’이 있는 곳에 ‘힘’의 충돌이 있다는 뜻이다. 필자는 6자회담이란 정치적 이슈가 등장하기 전부터 남북한과 네 지역의 디아스포라 문학을 합하여 ‘2+4시스템’으로 불러왔다. 이 길은 남북한 문학, 더 넓게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교류와 연대를 내다보는 새 통로이며, 정치나 국토 통합에 우선하는 문화통합의 추동력이 될 수 있다.
김종회(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김종회=1955년 경남 고성 출생. 88년 ‘문학사상’으로 평론가 데뷔. 평론집 『위기의 시대와 문학』 『문학과 예술혼』 『디아스포라를 넘어서』 등. 김환태평론문학상·한국문학평론가협회상 등 수상
아나톨리 김의 소설 '복수' 영화로 만난다
[중앙일보] 입력 2013.07.22 00:56 / 수정 2013.07.22 00:56이주 조선인 소재 … 내년 한·러 합작

한국계 러시아 작가 아나톨리 김. [중앙포토]
‘복수’는 1930년대 러시아 사할린으로 이주하게 된 조선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한국에서는 SCS엔터테인먼트 이주익 대표가 제작에 나서고 아나톨리 김이 원작자로 참여한다. 지난달 하순 제35회 모스크바영화제 부속행사로 열린 ‘한-러 영화산업 협력모델 구축 포럼’에서 그 윤곽이 제시됐다.
연출은 러시아의 파벨 추흐라이가 맡았다. 파벨 추흐라이는 러시아의 대표 감독인 그리고리 추흐라이의 아들로, 1997년 ‘도둑(The Thief)’으로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원작을 쓴 아나톨리 김은 1939년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고리키문학대를 졸업했다. 73년 단편 ‘수채화’로 등단한 뒤 서정소설부터 환상소설까지 100편이 넘는 작품을 발표해왔다.
강릉 김씨로 김시습의 후손이라고 강조하는 그는 91년부터 5년여간 중앙대에서 러시아 문학 강의를 하면서 족보를 확인해 소설가 이상(본명 김해경)의 후예라고 밝히기도 했다. 국내에는『켄타우로스의 마을』『해초 따는 사람들』『신의 플루트』 등의 작품이 번역됐고 김현택 한국외대 교수와 함께『춘향전』을 러시아어로 번역해 소개하는 등 한국 문학을 러시아에 알리는 데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현옥 기자
디아스포라 문학의 오늘
[중앙일보] 입력 2013.07.22 00:57 / 수정 2013.07.22 00:57일본 '아쿠타가와상' 4명 수상
이창래, 노벨문학상 후보에

이른바 경계인 신분. 이곳에도 저곳에도 든든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이들의 자기 정체성 탐구는 괄목할 문학적 성과로 피어나고 있다. 이들은 식민지 시대나 분단, 한국전쟁 등을 독특한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일본이다. 일본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아쿠타가와(茶川)’상 수상자 중 한국계 작가는 네 명이나 된다. 첫 수상자인 이회성(‘다듬이질하는 여인’)을 비롯, 이양지(‘유희’)와 유미리(‘가족 시네마’), 현월(‘그늘의 집’) 등이 재일 한국인 문학의 맥을 이어왔다.
강용흘과 김은국, 수잔 최와 이창래 등으로 이어지는 미국내 한국계 작가도 주류 문단에서 인정받고 있다. 김은국(1932~2009)은 한국전쟁 당시 평양을 배경으로 신앙과 양심의 갈등을 그린 『순교자』(1964)로 한국계 최초로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이창래(48)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첫 장편 『영원한 이방인(원제 Native Speaker)』로 헤밍웨이상 등 미국 내 권위 있는 문학상을 휩쓸었으며, 노벨문학상 후보로도 거론돼왔다. 한국전쟁으로 뒤얽힌 세 남녀의 비극적 삶을 다룬 신작 『생존자』가 올해 국내 번역·출간되기도 했다.
톨스토이 문학상을 수상하며 러시아의 대표작가로 꼽히는 아나톨리 김(74)과 1920년 독일로 망명한 뒤 장편 『압록강은 흐른다』로 전후 독일 문단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이미륵(1899~1950) 등도 대표적인 디아스포라 문학 작가다.
하현옥 기자
◆디아스포라(Diaspora)=그리스어에서 온 말로, 분산 또는 이산을 뜻한다. 팔레스타인 외역(外域)에 살면서 동일한 종교규범을 가졌던 유대인 및 그들의 거주지를 주로 가리킨다. 일제강점기·남북분단을 거치면서 생긴 중국 및 중앙아시아로의 집단이주, 징병·징용과 관련된 일본으로의 이주, 노동자 수출로 시작된 미주로의 이주 등도 디아스포라의 한 유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