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수필

사이 2

구름뜰 2016. 1. 2. 13:26

 

 

 

 

사람들 사이에

사이가 있었다 그

사이에 있고 싶었다

양편에서 돌이 날아왔다

나는 쌱 피했다

뒤축을 자갈밭에 묻고

시궁창에 코를 처박고

- 박덕규(1958~)




 오로지 나쁘거나 오로지 좋은 것은 없다. 말 그대로 순종(純種)은 없다. 모든 것은 잡종이거나 혼종(混種)이다. 이분법은 근본적으로 무지의 소산이며, 복잡한 세계를 편리하게 단순화시킨다. 문제는 이 단순화가 왜곡이고 폭력이라는 것이다. 왜곡된 이항대립을 피하려는 순간, “양편에서 돌이 날”아 온다. 사이(틈 in-between) 혹은 환유적 겹침의 공간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는 폭력적이다. 경계와 겹침의 공간에서 합리적 동의를 이끌어내려다 “시궁창에 코를 처박”히기 일쑤다. 반대되는 생각도 겹치는 부분이 있게 마련이다. 사람들 사이도 마찬가지다. 그곳에서 문제를 함께 풀어나가기가 왜 이렇게 힘든가-<오민석·시인·단국대 영문학과 교수>



'시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길   (0) 2016.01.19
에르노의 짜릿한 연애, 벽초의 임꺽정 매력에 중독  (0) 2016.01.04
함민복씨의 직장   (0) 2015.12.28
경청   (0) 2015.12.28
우리 집 강아지는   (0)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