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참에 비누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처음으로 찾아보았다. “때나 더러움을 씻어내는 데 쓰는 물건.” 같은 말은 석감(石검). 여기에 덧붙일 수 있는 설명이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 누구나 쓸 수 있는 것, 색깔은 다양해도 거품만은 흰 것, 유용하고 향기로운 것, 만들 수 있는 것, 선물하기 좋은 것…. 이따금 값비싼 비누가 생기면 며칠 갖고 있다가 동생에게 주고는 한다. 비누라면 나한텐 이거면 되니까. 볼록한 유선형에 비둘기 로고가 새겨진 우윳빛 비누. 그게 유년 시절부터 다이알비누 살구비누 아이보리비누 등을 거치면서 찾은 취향이 되었다.
소설에서 등장인물은 그가 사용하는 소도구나 사물로 독자에게 소개되기도 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장치로 쓰이기도 한다. 아버지에 대한 소년의 불신인지 슬픔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어떤 작가는 이런 표현을 하기도 했다. 손톱으로 아이보리비누를 긁어 다섯 개의 골을 파놓았다고. 제목도 잊어버렸지만 할퀸 듯 비누에 남아 있는 아이의 손톱자국만은 지금도 선명히 그려진다. 어쨌든 그 자국도 사라지겠지. 그러고 보면 비누에 한마디 덧붙여도 괜찮을지 모르겠다. 이윽고 닳아 없어지는 것.
조경란 소설가
크리스티나 페리 로시! 위 글을 읽다가 인터넷 서점에 들어가 검색해 보았다. 국내에 소개된 것은 세권 같은데. 판매되고 있는 것은 한 권이고 나머지 두 권은 절판과 품절이었다. 그래도 요즘은 인터넷 서점(예스 24)에서 중고책 판매자가 있고, 클릭하면 바로 그 사람 서점으로 연결이 된다. 말하자면 중고 인터넷 서점이다..
중고서적은(배송비가 붙긴하지만) 최초 가격에 비하면 절반 정도에 살수 있다. 매우 귀한 책은 만원짜리가 이만원을 하는 경우도 왕왕있다. 그런 책은 도서관에가서 빌려보는 이도 있고 정말 갇고 싶거나 텍스트 삼고 싶은 책들은 제본을 떠서 나눠 보기도 한다. 여튼 중고서적은 세권을 가진 사람이 드물어서 한권씩 따로따로 주문해야 하는 불편함이다.
손 닿는 데 마다 두고 본다는 것은 그만큼 손 놓을 수없는 것이란 뜻도 되고, 독서 습관일 수도 있겠다. 한달에 한 번 미용실에 간다. 문명의 이기중 고마운게 한두가지 일까만 파뿌리로 살지 않아도 되는 염색약은 감기약 보더 고맙다는 생각이 들때다. 보던 책을 들고 간다. 누가 내 머리를 만져주고 책에 집중하는 시간은 매우 기분좋은 일이다. 특히 파마를 할 때는 두세 시간이 알차진다.
집 구석구석에도 책을 두는 편이다. 화장실, 거실, 주방, 침실 머리맡이든 손 닿는 데 마다, 그러면 짜투리 시간이나 무심한 시간이 무심하지 만은 않다. 까끔 돋보기를 찾느라고 왔다갔다 하는 불편함이 있긴 하지만, 습관이 들지 않았더라도 동선을 따라 책을 두면 간식을 먹는 일처럼 기분 좋은 일들이 드러 생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