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이 누구의 숲인지 알 것 같네,
그의 집은 비록 마을에 있지만.
그는 내가 여기 멈춰 선 걸 모를 거야,
눈 덮인 그의 숲을 보기 위해.
내 작은 말도 이상하게 생각하겠지,
가까이 농가도 없는 이곳에 멈춘 것을.
한 해 중 가장 어두운 저녁
숲과 얼어붙은 호수 사이에
녀석이 방울을 한번 흔들어대네,
혹시 뭔가 잘못된 것이라도 있느냐고.
그 밖에 들리는 것이라고는
바람 소리와 눈발 내려앉는 소리.
숲은 사랑스럽고, 어둡고 깊네.
그러나 지켜야 할 약속이 있네.
잠들기 전에 몇 마일을 가야 하네.
잠들기 전에 몇 마일을 가야 하네.
- 로버트 프로스트(1874~1963)
프로스트는 기교나 음풍농월 없이 묵묵히 시를 밀고 간다. 그는 그 소유자마저 알지 못하는 아름답고 어둡고 깊은 눈 오는 밤의 숲을 바라볼 줄 알면서도 그것을 떨치고 갈 길을 마저 가는 인간을 보여준다. 엄살도, 수다도 없다. 남성적 묵묵함이 이미지나 정서를 압도한다. 그가 가지 않은 길을 돌아볼 줄 알고, 또 자신이 택한 길을 수락하고 묵묵히 걸어감으로써 가지 않은 길마저 함께 데리고 가는 인간을 보여준 것처럼, 여기서 또 한 사나이의 삶에 대한 태도를 보여준다. 황홀과 비탄에 빠져 세상과 따로 노는 것이 예술의 길이요, 깡패 노릇이 사나이의 길이며 결탁이 의리라는 야릇한 편견들로부터 그는 근본적으로 독자를 구출한다. 그에게 숲은 완상의 대상이거나 정서적 상관물에 하냥 머물지 않는, 이야기가 있는 인간 드라마의 한 장소다.-장철문·
가지 않은 길 /프로스트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로 났었습니다.
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있고 사람이 걸은 자취가 적어,
아마 더 걸어야 될 길이라고 나는 생각했었던 게지요.
그 길을 걸으므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이지만.
그 날 아침 두 길에는
낙엽을 밟은 자취는 없었습니다.
아, 나는 다음 날을 위하여 한 길은 남겨 두었습니다.
길은 길에 연하여 끝없으므로
내가 다시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
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뜻도 모르고 교과서 실린 시들은 달달달 외웠던 여고시절,
살다보니 그때 그 시가 무슨뜻이었던지 살아 갈수록 와 닿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인구에 가장 많이 회자되는 시가 '가지 않은 길'아닐까 합니다.
오늘도 우리는 가고 있지요.
간다는 것 자체가 가지 않음을 인식한다는 것인데.
가지 않은 길을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꺽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바라다보기도 하지요.'
위 시평처럼 좋은 글은 거리을 유지 하지요.
숲을 바라보는 것처럼, 가지 않은 길을 바라보는 것처럼
어떤 대상(객관적 상관물)을 거리를 두고 볼줄 알지요.
너무 가까이 가면 실체를 제대로 못보게되고,
너무 멀리 가버리면 또한 마찬가지겠지요.
거리가 어찌 시에서만 해당될까요.
사람과 사람의 거리. 좋은 거리란 얼마쯤일까요.
'시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슨 말인가 더 드릴 말이 있어요 (0) | 2012.12.21 |
---|---|
요즘 뭐하세요? (0) | 2012.12.18 |
나의 침울한, 소중한 이여 (0) | 2012.12.10 |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0) | 2012.12.05 |
눈 오는 날 시를 읽고 있으면 (0) | 201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