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수필

그날이 오면

구름뜰 2013. 3. 1. 08:51

그 날이 오면, 그 날이 오면은

삼각산(三角山)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漢江) 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 날이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하량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鐘路)의 인경(人磬)을 머리 들이받아울리오리다.

두개골(頭蓋骨)은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恨)이 남으오리까.

 

그 날이 와서 오오 그 날이 와서

육조(六曹) 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뒹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커다란 북[鼓]을 만들어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行列)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 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심훈

 

심훈은 농촌계몽소설 공모작에서 당선된 작품 '상록수'의 작가며

이 시는 1930년 3월 1일에 발표한 시다.

3,1운동 이후 일제는 조선인을 이대로 두었다간 안되겠다는 위기감으로

조선인 회유책을 쓰는데 그것이 이른바 '문화정치'라는 것이다.

문화정치는 통치방법과 지방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하여

식민통치의 위기를 극복하면서 조선인을 기만하는 정책이었다

 

국문학사를 보면 1920년대에서30년대 친일인사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이 또한 문화정치가 만든 해악이다.

 서정주는 " 일본이 그렇게 빨리 항복할 줄 몰랐다. 한 백년은 갈줄 알았다"고 했으니...

그리고 그는 죽는 날 까지 친일의 행적을 사과하지 않았다.

그의 입종을 앞두고  몇몇 후배가  그를 찾아가서 사과를  종용했으나

그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를 주저로 한  글이 있어서 스크팹해서 올려본다.

 

 일제의 문화정치와 민족분열정책

 

3·1운동 이후 일제는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무력 대신 조선인을 회유하고 동화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통치방법과 지배정책의 수정을 통해 3·1운동으로 야기된 식민통치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3·1운동 직후 부임한 조선총독 재등실齋藤實은 ‘신시정방침’을 통해 문화정치의 취지와 목적을 “문화적 제도의 혁신에 의해 조선인을 유도하고 이끌어서 그들의 행복과 이익의 증진을 꾀하고 장차 문화의 발달과 민력의 충실에 맞추어 정치상·사회상의 대우에 있어서도 내지인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 궁극의 목적을 달성할 것”1)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총독직제 개정, 헌병경찰제 폐지, 언론·집회·출판 등의 제한 완화, 지방자치제 실시를 통한 조선인의 정치 참여, 관제 개혁, 산업 개발, 조선의 문화와 관습 존중 등 새로운 정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위기국면을 모면하기 위한 회유책일 뿐 조선지배의 근본 목표가 수정되었다거나 식민통치가 약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문화정치’는 좀더 세련된 방법으로 조선 지배체제를 더욱 강화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일제는 ‘문화정치’를 표방하면서 총독의 직제 개정을 통해 총독을 “육해군 대장으로 보임한다”는 조항을 없애고 문관도 총독에 임명될 수 있게 하였으나,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단 한명의 문관도 조선총독에 임명하지 않았다. 헌병경찰제를 폐지하고 보통경찰제를 채택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1910년대의 헌병이 문화정치시기 보통경찰로 그대로 옮겨 앉은 것에 불과했고, 오히려 군과 경찰이 훨씬 증가하였다. 1918년 751개소였던 경찰관서는 1920년에 2,176개소로 증가했고, 경찰인원 5,400명에서 1 8,400명으로 증가했으며, 예산도 800만원에서 2,400만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조선인 헌병보조원도 1920년대에 들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언론·집회·출판 등의 제한을 완화하여 『조선일보』1920.3.5, 『동아일보』1920.4.1, 『시대일보』1924.3.31 등의 신문과 『개벽』1920.6.25, 『신생활』1922.3.11 등의 잡지 발간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그 목적은 조선인의 언론·출판 활동을 보장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었다. 사전 검열을 철저히 하면서 조선어 신문·잡지 발행을 통해 조선인들의 민심 동향을 주시하고 그 저변의 흐름을 미리 알아내는데 더 중요한 목적이 있었다. 나아가 일제는 1925년 치안유지법을 공포하여 반일운동과 사회주의운동 등은 물론 식민통치에 반하거나 저항하는 어떠한 결사나 운동을 철저히 탄압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놓았다.

 

일제는 또한 지방제도 개편을 통해 조선인을 정치에 참여시켜 지방자치에 대한 훈련을 한다고 선전하였다. 실제로 일제는 지방제도 개편을 통해 행정기관에 부협의회·면협의회·도평의회·학교평의회를 두고 제한선거 혹은 간접선거로서 의원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 기관들은 의결기관이 아닌 자문기관으로서 정책을 결정하는데 아무런 권한이 없었고, 또한 선거권을 철저히 제한함으로써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과 친일조선인을 각 지역의 지배층으로 포섭하는 방책에 지나지 않았다. 즉 일제가 실시한 지방자치제는 민도의 차이를 지방자체제의 기준으로 삼아2) 일본인이

많이 살고 있는 부와 지정면은 제한선거를 실시하고, 조선인이 많이 거주하는 도와 일반면에서는 임명제를 채택했으며, 또한 의장에게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는 등의 차별적이고 불완전한 지방자치제에 불과했다.

 

문화정치는 겉으로는 조선인을 위한 정책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식민통치체제를 더욱 강화하는데 목적을 둔 기만적인 정치였다. 그 기만성은 일제가 문화정치를 내걸면서 민족분열정책에 가장 역점을 두었다는 점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일제는 반일역량을 약화시키기 위해 한편으로는 친일파를 대량 양성하고 한편으로는 상층부 민족주의자들을 포섭하여 민족해방운동전선을 분열시키고자 하였다. 재등실은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으로서 친일파 양성책, 민족주의세력의 포섭과 개량화, 종교단체의 분열과 어용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조선인 관리를 재조사·검토해서 양부良否를 가려내어 상벌을 분명히 하고 관기를 숙정해서 일본에 절대 충성하는 자로서 관리를 굳힌다.

② 조선인 한 사람 한 사람을 분명히 가려내기 위해 몸과 마음을 걸고 일을 해낼 핵심적 친일인물을 골라 귀족·양반·부호·실업가·교육가·종교가 등에 침투시켜서 얼마간의 편의와 원조를 주어 친일단체를 만들게 한다.

③ 각종 종교단체도 중앙집권화해서 그 최고지도자에 친일파를 앉히고 일본인 고문을 붙여 어용화시킨다.

④ 조선문제 해결의 사활은 친일인물을 많이 얻는 데에 있음으로 친일 민간인에게 편의와 원조를 주어 수재교육의 이름 아래 많은 친일 지식인을 긴 안목으

로 키운다.

⑤ 양반·유생 가운데 직업이 없는 자에게 생활방도를 주는 대가로 이들을 온갖 선전과 민정 염탐에 이용한다.

⑥ 조선인 부호에게는 노동쟁의·소작쟁의를 통해서 노동자·농민의 대립을 인식시키기도 하고, 또 일본 자본을 도입시켜 그것과의 맥락을 통해서 매판화시켜 일본쪽에 끌어들인다.

⑦ 농민을 통제·조종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유지가 이끄는 친일단체 교풍회·진흥회를 두게 하고 이에 국유림의 일부를 불하해 주는 한편 입회권入會權을 주어 회유·이용한다.3)



이러한 민족분열정책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직업적 친일파가 급속도로 양성되고 각 지역에 친일단체가 설치되어 친일여론이 확산되는가 하면 자산가와 노동자, 지주와 소작농 등 계급·계층간의 분열을 조장하여 민족해방운동전선을 약화시켰다.

 

또한 문화정치의 공간 내에서 민족운동을 개량주의운동으로 유도하였으며, 동요하는 민족주의자들을 적극적으로 포섭하여 대일 타협화 여론에 앞장서게 하였다. 일제는 이들에게 조선인에게도 경제·문화 등의 분야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하는 회유정책을 실시하면서, 또 한편으로 당장은 독립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공공연히 선전했다. 조선인의 민족성 자체가 독립할 능력이 없고 조선의 역사는 식민지의 역사뿐이며, 나아가 조선에 독립을 부여한다고 해도 조선인은 그것을 유지해나갈 실력이 없다는 것이었다. 일제는 조선이 독립하려면 충분한 실력을 양성하고 문화 역시 충분히 발전한 뒤에야 가능하다고 설득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는 당시 민족주의자들이 벌이고 있던 교육·문화운동도 완전히 없애버리기보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다는 이를 적절히 활용했다.

3·1운동 이후 실력양성, 청년의 자각, 민족정신 앙양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육진흥과 문화운동을 민족독립의 우선 과제로 꼽고 있던 민족주의자들에게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은 상당한 영향을 주었고, 이 중 일부는 일제에 타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했다. 특히 3·1운동 이후 동요하던 민족주의자들은 기만적인 문화정치에 현혹되어 민족주의의 변질인 민족개량주의를 주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주어진 문화통치의 공간에서 일제와 투쟁을 벌이기보다는 적극적인 타협을 통해 실력을 양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교육과 산업을 진흥해 일제로부터 식민통치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얻고, 최종적으로 자치권을 획득한다는 생각이었다.

민족개량주의자들은 당시 총독부가 문화운동의 목표로 설정하고 지원했던 실력양성·민족성 개조·참정권 획득 청원 등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다. 더욱이 일제가 문화정치를 실시하면서 부분적으로 허용했던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와 회사령의 철폐 등은 이들을 현혹시켜 일제와 정면대결을 피하고 타협하는 계기로 작용했고, 1920년대 초반부터 등장한 많은 합법적 문화운동단체들은 저항보다는 대일 타협화 여론을 조성하는데 앞장섰다. 일제가 정치단체를 빼놓고 각종 사회·문화단체를 허용한 것도 반일운동을 진정시키고 대일 타협화 여론을 확산시키기

내선일체를 강요한 최린·최남선·이광수·김활란


위한 것이었다.4)

 

또한 이들이 일제의 회유에 쉽게 넘어갈 수 있었던 것은 3·1운동 실패와 서구 열강에 대한 기대 좌절, 반일독립운동의 전략과 전술을 둘러싼 의견 대립 등으로 끊임없이 동요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독립의 희망이 좌절된 상태에서 이들 민족주의세력은 타협과 저항의 갈림길에서 동요할 수밖에 없었고, 일제는 그 틈을 이용해 문화정치를 내걸고 이들을 회유내지는  포섭했다. 특히 민족주의세력 중에서도 일제가 적극적으로 포섭의 대상으로 삼은 자들은 이광수·최남선·최린 등 영향력 있는 민족주의자들이었다. 일제는 이들을 이용하여 민족개량주의를 유포하고 대일 타협화 여론을 조성하였다. 언론을 통해 발표된 이광수의 「민족개조론」1922·「민족적 경륜」1924, 최남선 「조선민시론」 등은 민족개량주의 논리로서 일제가 내건 문화운동의 논리자치, 실력양성, 민족성 개량 등를 그대로 반영한 내용이었고, 특히 이광수는 앞장서서 일제의 문화운동 방책을 제시하기까지 하였다. 또한 최린을 통해 당시 교세가 가장 컸던 천도교에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민족개량주의를 선전하였다.

 

이렇게 문화정치는 3·1운동 당시 표출되었던 반일투쟁 역량을 약화시키기 위해 친일세력을 대량 양성하고 교묘히 민족내부의 분열을 조장하는 민족분열정책이 핵심이었다. 포섭된 민족주의자들을 이용한 대일 타협화 여론의 조성은 민족 내부의 분열을 더욱 심화시켰다.

 

 

 

'시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피곤한 영혼을 어디다 누이랴/김병화  (0) 2013.03.07
그대 앞에 봄이 있다  (0) 2013.03.05
우리가 어느 별에서   (0) 2013.02.21
와유(臥遊)  (0) 2013.02.20
움직이는 누드  (0) 201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