멱산(곧 남산) 아래에 바보 한 사람이 사는데 어눌하여 말을 잘하지 못한다.
성품이 게으르고 서툴러 시무時務도 모르고, 특히 바둑이나 장기 등의 잡기도 할 줄 모른다.
남들이 욕을 해도 따지지 않고 칭찬을 해도 우쭐대지 않으며,
오직 책 보는 것을 낙으로 삼아 추위와 더위, 굶주림과 병에도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스물한 살이 될 때까지 하루도 손에서 책을 놓아 본 일이 없다.
그의 방은 매우 좁다. 그러나 동쪽에도 창이 있고 남쪽에도 창이 있고 서쪽에도 창이 있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기우는 해를 좇아 가며 햇볕 아래서 책을 읽는다.
그는 보지 못한 책을 보기라도 하면 좋아서 웃는다.
집안사람들은 그가 웃는 모습을 보고 곧 그가 기이한 책을 얻었다고는 것을 알아차린다.
또 두자미(두보)의 오연율시를 좋아하며 큰 병에 걸린 것처럼 끙끙대며 읊조리는데,
그러다가 심오한 맛을 터득하여 기쁘기가 그지없으면 일어서서 이리저리 서성댄다
그가 내뱉는 소리는 갈가마귀가 우는 것과도 같다.
어떤 때에는 조용하게 아무 소리도 없다가 눈을 휘둥그레 뜨고 어딘가를 뚫어지게 응시하기도 하며,
어떤 때에는 꿈속을 헤매기라도 하듯 혼잣말을 중얼거린다.
사람들은 그를 책만 보는 바보, 즉 간서치看書痴라고 손가락질을 한다.
그 역시 그 별명을 기쁜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그의 전기를 짓는 자가 아무도 없기에 붓을 들어 그의 행적을 기록하여 간서치전看書痴傳이라 하였다. 그의 이름과 성은 굳이 기록하지 않는다.
작가이야기
간서치전은 작가 이덕무가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쓴 자전인데
바보스럽도록 책만 읽어서 책읽는 바보라는 제목을 붙였지만
그만큼 열성적인 자신의 독서 행위에 자부심이 스며 있는 글이다.
이덕무 1741-1793년 조선 정조 때의 문인, 실학자. 박학다식하고 시문에 능하여 젊어서부터 많은 저술을 남겼다.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유득공 등과 사귀었으며, 중국에까지 알려진 사가시인(四家詩人: 이덕무,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중의 한 사람이다.
왕족출신이었지만 아버지가 서자였으므로 당시 신분제도의 문제점 뼈저리게 느끼며 유교사회의 모순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조선 후기 사회에서 현실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통찰하고 새롭게 바꾸어 가려는 개혁적인 사상가,, 스승격인 담헌 홍대용과 연암 박지원과도 깊은 친분을 맺었던 사람이다. 홍대용과 박지원, 그리고 이서구는 명문가의 사대부로, 당시 이들의 사귐은 신분과 처지를 뛰어넘는 파격적인 것으로, 무엇보다 사람의 성품을 보고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한다.
여느 선비들처럼 유교경전을 파고 들어봐야 벼슬에 나아갈 수 있는 처지도 아니었기에, 이덕무와 그의 벗들의 관심은 자연스레 주변의 사물이나 자연, 자신의 감정을 깊이 들여다보는 것에 많이 쏠리고,. 이러한 시선은 자연스레 문학적인 언어로 표현되어, 각자의 개성과 감수성이 뛰어난 시와 문장들을 많이 남기게 되었다고 한다.
'시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태 - 이상 수필 (0) | 2010.06.15 |
---|---|
거울 - 이상 (0) | 2010.06.12 |
깃발 - 유치환 (0) | 2010.06.07 |
청포도 - 이육사 (0) | 2010.06.03 |
바다와 나비 - 김기림 (0) | 201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