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곡, 실천적, 대안적, '논어' 읽기
신간 <논어 : 삶에서 실천하는 고전의 지혜>
인권 운동가 이남곡이 <논어, 삶에서 실천하는 고전의 지혜> 개정판을 냈다. 그는 사회변혁 운동을 시작으로 8년간의 교사운동, 4년간의 투옥생활을 지나 새로운 사회와 문명에 대해 모색해 왔다.
이 책은 논어 전문을 열 가지 범주 (탐구, 처세, 정치, 중도, 군자, 품성, 조직, 경제. 인생, 깨달음)로 분류하고, 그것을 다시 세부 주제별로 엮었다. 책에 담긴 공자의 지혜와 저자의 실천적, 대안적 인생 강의는 크게 다섯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좋아하여도 반드시 살핀다. 사람들은 보통 상대의 출신, 부모, 고향, 학교 등을 통해 판단하고, 과거의 꼬리표를 붙여 재단한다. 공자는 사람을 평가할 때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반드시 살피며, 여러 사람이 좋아하여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즉 사람을 평가하는 데 함부로 단정해서는 안 된다는 중요한 진리를 일깨우고 있다. 공자의 이 말은 다른 사람을 평가할 때뿐만 아니라, 자신을 살펴볼 때도 매우 중요하다.
둘째, 바른 정치의 요체인 人事가 바로 仁이다. 아무리 제도를 잘 갖춰놓아도 그것을 제대로 운용할 수 있는 사람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이상적인 세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오히려 여러 가지 왜곡된 형태로 변질되기 쉽다. 공자는 인은 바른 정치의 요체인 인사다"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곧은 사람을 등용하여 굽은 사람 위에 놓으면 굽은 사람도 능히 곧게 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즉 인이란 사람들 간의 관계 속에서 실현되는 것인데. 그 관계 속에서 사람들이 올바르게 배치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자신보다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말라, 보통 사람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저이든 자기가 대하기 쉬운 사람과 사귀려는 경향이 강하다. 사람을 사귈 때 가르치려고 하기 보다 배우려는 자세로 사귀어야 허물을 지적받고 그것을 고치기 쉽다. 공자는 이 점을 지적했다. 요즘, "스승이 없다"는 말을 한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하게 살피면 스승이 없는 것이 아니라 배우려고 하지 않은 완고한 마음 때문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넷째, 쓰이면 행하고, 안 쓰이면 간직한다. 세상에 '쓰임'을 구하는 이들은 이 구절을 깊이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선거든 임용이는 취직이든 창업이든 뜻대로 나아가지 못할 때가 있고, 잘 나가다가도 어려움을 겪을 때가 있다. 이때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내면으로 돌아가 진실한 힘을 키우는 것, 즉 사지즉장이 필요하다. 실재로 자기 쓰임새는 자기 스스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뿐이다.
다섯째. 세상을 구하고자 지혜를 감추고 속세에서 산다. 마음속에 이상향을 품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본문에 나오는 장저나 걸익 같은 사람들의 삶과 공자의 삶이 고금을 통해 대표적이다. 공자는 현실과 이상을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결합하려 한 점에서 대단히 뛰어나 성현이었다.
'유유자적하며 사는 것도 좋겠지만, 저 민중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결국 무도한 현실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애정이 그를 현실 참여로 이끈 것이다.
책 속으로
서(용서할 서 恕)는 자기와 다른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상태를 말한다. 화이부동 (和而不同)하는 삶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 서다. 忠과 恕는 소아를 넘어서는 세계에서 받현된다.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함께 생활하는 경우에 어떤 사람이 설거지를 하면서 '왜 저 사람들은 나처럼 하지 않을까?'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현재 상태를 즐길 수 없다. 그러나 그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반아들여恕 혼자 설거지하는 상황을 불편해하지 않고, 설거지에만 집중忠 할 수 있다면 그 행위를 즐길 수 있다. 서와 충은 이렇게 함께 가는 것이다.
P166쪽 <충과 서가 있을 뿐이다> 중에서
스스로 덕이 있는 사람인가 알아보려면 '마음 안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들어와 있는가' 자문해보면 된다. 덕이 있는 사람은 이미 자기 안에 수많은 사람이 들어와 있다. 그처럼 많은 이웃이 있기에 결코 외롭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덕성은 홀로 수행을 통해 길러지는 측면도 있지만, 보통은 올바른 사회관계와 사회적 실천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공자는 "덕은 고립된 상태에서 존재할 수 없고, 반드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성립한다'고 했다. 덕은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실천이 조화를 이룰 때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다.
P215 <지혜로운 사람은 인심이 후한 사람을 가려 산다> cbs 노컷 뉴스
'책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밋빛 인생 / 정미경 장편 (0) | 2017.08.27 |
---|---|
열정 - 내가 누구인지, 삶의 흔적으로 말할 뿐 (0) | 2017.08.01 |
숨결이 바람될 때 /폴 칼라니티 (0) | 2017.07.11 |
사랑의기술 / 에리히 프롬 (0) | 2017.06.02 |
불안의 책/페르난두 페소아 (0) | 2017.05.06 |